1. 네트워크 : 노드와 링크가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, 리소스를 공유하는 집합을 의미
- 노드 : 서버, 라우터, 스위치 등 장치
- 링크(엣지) : 유선 또는 무선과 같은 연결매체 (와이파이나 LAN)
2. 트래픽 : 트래픽은 특정시점에 링크 내의 “흐르는” 데이터의 양을 말합니다.
예를 들어 서버에 저장된 파일(문서,이미지,동영상 등)을 클라이언트(사용자)가 다운로드 시 발생되는 데이터의 누적량을 뜻합니다.
트래픽과 처리량을 헷갈릴 수 있는데 이렇게 이해하면 됩니다.
- 트래픽이 많아졌다. = 흐르는 데이터가 많아졌다.
- 처리량이 많아졌다. = 처리되는 트래픽이 많아졌다.
A1. 100KB x 1,000 = 100,000KB(100MB)
A2. 10MB x 10 = 100MB
3. 처리량 : 처리량(throughput)은 링크 내에서 성공적으로 전달된 데이터의 양을 말하며 보통 얼만큼의 트래픽을 처리했는지를 나타냅니다. 많은 트래픽을 처리한다 = 많은 처리량을 가진다.
- 단위 : bps(bits per second) 초당 전송 또는 수신되는 비트 수
처리량은 사용자들이 많이 접속할 때마다 커지는 트래픽, 네트워크 장치 간의 대역폭, 네트워크 중간에 발생하는 에러, 장치의 하드웨어 스펙에 영향을 받습니다.
4. 대역폭 : 대역폭(bandwidth)은 주어진 시간 동안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흐를 수 있는 최대 비트 수를 말하며 최대로 처리할 수 있는 트래픽을 말합니다.
예를 들어 고속도로의 차선이 2차선보다 8차선일 때 더욱 원활하게 교통이 이루어지듯이 대역폭이 높을수록 사용자에게 빠른 서비스를 제공 할 수 있습니다. 대략적인 최대동시접속자수를 유추하는데의 척도가 됩니다.
- 단위 : bps(bits per second) 초당 전송 또는 수신되는 비트 수
Q. 100Mbps라는 대역폭을 가진 서버가 있고 한사용자당 100kbps로 동영상 파일을 요청한다고 해봅시다. 최대 동접자수는 어떻게 될까요?
A.100Mbps / 100kbps = 약 1000명
5. RTT : RTT(Round Trip Time : 왕복 지연시간)는 신호를 전송하고 해당 신호의 수신확인에 걸린 시간을 더한 값이자 어떤 메시지가 두 장치 사이를 왕복하는 데 걸린 시간입니다.
출처 : 인프런 강의, CS 지식의 정석 | 디자인패턴 네트워크 운영체제 데이터베이스 자료구조, 강사 : 큰돌
'Computer Science > Network' 카테고리의 다른 글
Linux - Network 3 / 3 (1) | 2024.08.31 |
---|---|
Linux - Network 2 / 3 (0) | 2024.08.29 |
Linux - Network 1 / 3 (0) | 2024.08.29 |
TCP 핸드쉐이크 프로세스 (0) | 2024.08.27 |
HTTP Header (0) | 2024.08.21 |